반응형
정부는 에너지 절약을 장려하고 가계 부담을 줄이기 위해 ‘도시가스 캐시백 제도’를 운영하고 있습니다. 이 제도를 통해 도시가스 사용량을 절감한 가구는 일정 금액을 환급받을 수 있으며, 신청 절차도 간단합니다. 도시가스 캐시백 개요, 신청 대상 및 조건, 신청 방법과 절차까지 상세히 정리해 알려드립니다.
1.도시 가스 캐시백
도시가스 캐시백 제도는 에너지 절약을 실천한 가구를 대상으로 정부가 일정 금액을 돌려주는 지원 정책입니다.
도시가스 캐시백 주요 내용
- 제도 개요: 도시가스 사용량을 줄이면 절감한 양에 따라 캐시백 지급
- 대상 지역 및 공급사 / 서울, 경기, 인천, 부산, 대전, 대구 등 전국 도시가스 사용 가구 (총 34개 도시가스 공급사 참여)
- 지급 혜택
- 절감량 5~10% → 최대 2만 원 지급
- 절감량 10~15% → 최대 4만 원 지급
- 절감량 15% 이상 → 최대 7만 원 지급 가능
- 지급 방식: 매월 또는 분기별 캐시백 적립 후 도시가스 요금 차감 또는 현금 환급
2. 도시가스 캐시백 신청 – 누가 받을 수 있을까?
도시가스 캐시백 신청은 일반 가정, 상업시설, 공공기관 등 다양한 사용자에게 적용됩니다.
도시가스 캐시백 신청 대상 및 조건
- 기본 신청 대상 도시가스를 사용하는 일반 가정 및 상업시설
- 신청 조건
- 최근 1년간 도시가스 사용량이 있는 가구
- 기존 사용량 대비 일정 비율 이상 절감한 경우
- 동일한 주소에서 지속적으로 도시가스를 사용하는 경우
- 제외 대상 (신청 불가자):
- 도시가스를 사용하지 않는 가정 (LPG, 등유 등 타 연료 사용 가구)
- 신규 전입 가구 (이전 사용량 비교가 어려운 경우)
- 단체 계약된 아파트 관리비 포함 도시가스 사용 가구 (개별 청구서가 없는 경우)
3. 도시가스 캐시백 신청 방법 – 절차 및 접수 방법
도시가스 캐시백은 온라인 신청을 통해 간편하게 접수할 수 있으며 신청 후 승인되면 자동으로 환급됩니다.
도시가스 캐시백 신청 절차
- 신청 기간 / 매년 도시가스 공급사별 일정에 따라 접수 진행 (일반적으로 11월~12월 신청, 다음 해 1월부터 적용)
- 신청 방법:
- 도시가스 공급사 홈페이지 접속 (예: 서울도시가스, 대성에너지 등)
- 에너지 캐시백 공식 홈페이지 접속 후 신청 가능
- 신청서 작성 및 개인정보 입력 (사용자 정보, 주소, 가스 계량기 번호 등)
- 신청 절차:
- 공급사 홈페이지 또는 에너지 캐시백 사이트 접속
- 회원가입 후 본인 인증 진행
- 도시가스 고객번호 입력 및 신청서 작성
- 신청 완료 후 승인 대기 (평균 2~3주 소요)
- 사용량 절감률에 따라 캐시백 자동 지급 (요금 차감 또는 계좌 입금)
- 지급 방식 및 확인 방법:
- 지급 방식 / 도시가스 요금 차감 또는 현금 계좌 입금
- 지급 확인 / 공급사 홈페이지 및 고지서를 통해 확인 가능
결론 – 도시가스 캐시백, 이렇게 신청하세요!
- 도시가스 캐시백 제도는 가스 사용량을 절감한 가정에 일정 금액을 환급하는 제도
- 전국 도시가스 공급사가 운영하며, 가구별 사용량을 비교하여 절감률에 따라 캐시백 지급
- 도시가스를 일정 기간 이상 사용한 가구만 신청 가능하며, 신규 전입자 및 공동계약 아파트는 신청 불가
- 온라인 신청은 도시가스 공급사 홈페이지 및 에너지 캐시백 공식 사이트에서 가능
- 신청 후 절감률에 따라 자동 환급되며, 요금 차감 또는 계좌 입금 방식으로 지급
도시가스 캐시백을 활용해 에너지도 절약하고 경제적 혜택도 챙겨보시길 바랍니다.
반응형